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리눅스
- 일귀
- 공부
- 텐서
-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
- ML
- conda: command not found
- pytorch tensor
- 리눅스 오류
- essential deep learning paper reading
- conda오류
- 머신러닝
- Machine Learning
- torch
- anaconda오류
- pyTorch
- Ai
- Tensor
- conda
- Today
- Total
목록2025/06/07 (2)
Embedded World
서론UART 통신을 공부하면서, USB통신 또한 개념을 잡고자 한다. 책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을 참고하였다.본론1. USB 통신의 개요1.1 USB의 개요1.1.1 USB(Universal Serial Bus)의 탄생1990년대 이후 PC의 성능이 향상되고 용도가 확장되면서 통신을 해야 할 주변 장치의 종류와 숫자가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존 사용되던 프린터포트와 RS-232C 직렬포트는 통ㅅ니 속도가 느리고 확장 능력이 제한된다는 한계에 부딛혔다.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1994년 7개의 회사가 주축이 되어 PC와 주변 장치와의 새로운 직렬 통신 방식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이 USB이다. USB는 하나의 host..

서론임베디드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UART 통신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까먹은 개념적 부분이 많아 이를 복습하였다. 책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을 참고하였다. 본론1. 직렬통신 및 UART1.1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1.1.1 직렬(Serial) 통신과 병렬(Parallel) 통신컴퓨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리고 IC 칩들 사이에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 것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한다. 이런 데이터 통신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통신에 사용되는 channel 수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직렬 통신은 클럭당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병렬 통신은 클럭당 여러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