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
- Ai
- Tensor
- 머신러닝
- 리눅스
- 텐서
- conda오류
- anaconda오류
- conda
- torch
- Machine Learning
- ML
- 일귀
- essential deep learning paper reading
- pyTorch
- 리눅스 오류
- pytorch tensor
- 공부
- conda: command not found
- Today
- Total
목록Embedded Systems (6)
Embedded World

목차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 개요CAN 버스 특성제어기(Controller)와 송수신기(Transceiver) Controller Area Network(CAN)CAN의 종류1983년에 Benz사의 의뢰로 Bosch에서 개발한 차량 내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유선통신 네트워크.1991년 CAN 2.0이 발표(ISO 표준 1994년)2012년 CAN-FD 발표(ISO 표준 2015년)2021년 CAN-XL 발표(ISO 표준 2024년)CAN은 ISO에서 표준화된 Serial 통신규격이다(ISO 11898-1, 2, 3)CAN은 차량 내 다양한 장치들을 모두 함께 연결하는 버스 구조이다. CAN의 특징직렬 버스한 번에 1 bit씩 직렬 전송 비차폐 2선 차동 꼬임선(Uns..
서론STM32를 활용한 임베디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ST사의 HAL 라이브러리에 익숙하지 않아 프로그래밍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생겼다. 따라서, 책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의 Timer 내용을 공부해 HAL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Timer 기능 활용에 익숙해지고자 한다. 1. 범용(General-purpose) 타이머의 구조 및 기능STM32F103RB 보드의 Spec을 기준으로 합니다.1.1 STM32F 타이머 종류General-purpose TimerAdvanced TimerBasic TimerChannel Timer1.2 General-purpose Timer의 구조Prescaler (PSC) : 16비트의 프리스케일러는 공급되는 클럭(..
서론UART 통신을 공부하면서, USB통신 또한 개념을 잡고자 한다. 책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을 참고하였다.본론1. USB 통신의 개요1.1 USB의 개요1.1.1 USB(Universal Serial Bus)의 탄생1990년대 이후 PC의 성능이 향상되고 용도가 확장되면서 통신을 해야 할 주변 장치의 종류와 숫자가 급속하게 늘어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존 사용되던 프린터포트와 RS-232C 직렬포트는 통ㅅ니 속도가 느리고 확장 능력이 제한된다는 한계에 부딛혔다.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1994년 7개의 회사가 주축이 되어 PC와 주변 장치와의 새로운 직렬 통신 방식을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탄생한 것이 USB이다. USB는 하나의 host..

서론임베디드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UART 통신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까먹은 개념적 부분이 많아 이를 복습하였다. 책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을 참고하였다. 본론1. 직렬통신 및 UART1.1 직렬 통신(Serial communication)1.1.1 직렬(Serial) 통신과 병렬(Parallel) 통신컴퓨터와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리고 IC 칩들 사이에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는 것을 데이터 통신이라고 한다. 이런 데이터 통신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통신에 사용되는 channel 수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으로 구분할 수 있다.직렬 통신은 클럭당 1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병렬 통신은 클럭당 여러 비트를 전송하는 방식이..
http://chomman.github.io/blog/linux/binshm-bad-interpreter-no-such-file-or-directory-%EC%98%A4%EB%A5%98-%EB%B0%9C%EC%83%9D-%EC%8B%9C/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발생 시 linux 에서 스크립트 실행할 때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날 때가 있다. chomman.github.io 윈도우에서 스크립트 파일을 만들고, 리눅스에서 실행해서 발생하는 오류라고 한다. 오류의 이유는 개행문자가 윈도우와 리눅스가 서로 달라 호환이 안되기 때문이..

웹상에 맥의 경우 해결하는 방법은 많으나, 윈도우의 경우 해결법이 적어 (6시간 파고들어)정리해 올립니다.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된다면 너무 뿌듯할 것 같습니다! 윈도우에서 wsl이나 ubuntu를 이용해 리눅스환경에서 아나콘다를 설치했음에도, conda 명령어가 먹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글입니다. conda --version 를 입력할 때, 다음과같은 에러가 떴을 것 이다. Conda: "command not found" 해결방법과 에러의 원인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1. 해결방법 (일회성) 1. 리눅스 셸을 열고, 위와 같이 입력해줍니다. (아래 코드) export PATH=~/anaconda3/bin:$PATH 2. conda 명령어가 잘 먹힙니다. 하지만 이는 리눅스를 껐다 켤때마다 계속 다시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