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머신러닝
- pytorch tensor
- pyTorch
- 공부
- stm32f 시리즈를 이용한 arm cortex-m3/m4 구조와 응용
- 리눅스 오류
- torch
- ML
- 일귀
- 리눅스
- essential deep learning paper reading
- Tensor
- anaconda오류
- 텐서
- Machine Learning
- Ai
- conda
- conda: command not found
- conda오류
- Today
- Total
목록Insights (6)
Embedded World
완벽주의를 완성주의로 바꾸는데 큰 도움이 됐던 책이었다. 개인적으론 근 3년간 읽었던 책 중 나에게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친 책 중 하나였다.Chapter 1. 시작을 망설이는 당신은 완벽주의자다.완벽주의자들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은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비현실적 기대 = 내가 과연 저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2. 과거 곱씹기 = 과거에 실패한 기억에서 벗어날 수 없다.3. 인정받고 싶은 욕구 =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두려워.4. 실수할지도 모른다는 염려 = 실수하면 어쩌지?5. 행동에 대한 의심 = 어차피 해도 안 될 텐데 뭐. - 무언가로 인해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이 없고 자꾸만 위축된다면, 세상에는 똑같은 문제를 안고도 얼마든지 자신감을 가지고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있..
https://recruit.navercorp.com/cnts/people_detail?id=7 NAVER Careers People recruit.navercorp.com "일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일을 하는 동력이 자기 자신한테 있는 사람이 일을 잘하는 거 같아요. 다른 사람 때문에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할까요. 동력이 자기 자신한테 있다는 건 이 일을 되게 사랑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고, 잘하려고 스스로 노력을 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일을 잘하는 걸로 비춰지는 것 같고요. 그리고 회사에서는 벌린 일을 잘 마무리하는 것 자체도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벌리기는 쉬운데 끝까지 마무리하는 게 프로페셔널로서의 조건인 것 같고요."

URL: https://www.youtube.com/watch?v=JZRHd3oOdFA 요즘 내가 적당히 평범하게 살아가고자 한다는 점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이 생각은 도전과 수많은 실패로 범벅이 되어야 할 내 인생의 청춘 한가운데인 27살에 적절하지 않은 생각임을 느꼈다. 대학원에 지원하며 상황이 바뀌는 지금, 큰 목표와 더 큰 열정을 가져야 한다 생각하였고, 타인의 생각과 태도를 관찰하고 배우기 위해 해당 영상을 보고 느낀점을 정리해보았다. (+요즘 내가 공부가 아닌 노는 것에 더 마음과 신경을 쓰며 살아간다는 생각도 한 몫을 했다. 지금 내 모습이 많이 못마땅하다. 임펙트있는 엔지니어가 난 되고싶고, 이를 위해 집중해 성장해야 할 때인데 말이다. 열정을 되찾고자 한다.)내가 궁금했던 점Q. 이들..
AI대학원 입시준비를 하며 딥러닝 기본 개념들을 자세히 보게 되었는데, 알고리즘들의 발전 순서를 이렇게 나열해보니 재미있어서 글로 작성해보았다. 오래된 순으로 정리해보았다! 출처는 인하대학교 도서관 여러 책들로부터다ㅋㅋ 아이디어가 처음 제시된 년도, 논문이 출판된 년도를 딱히 구분하진 않았으니, 세부적 년도에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흐름을 캐치하는데는 문제가 없을거다! Binary Neural Network (McCulloch & Pitts) 1943 - 인간 신경망에서 영감을 받아 범용 계산장치의 구조로 모델링한, 돌이켜보면 첫 인공신경망이라 불리는 모델. - 저 시대에 아무도 실용성을 논하지 않았을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탐구정신이 너무 멋있다. Perceptron (Frank Rosenblatt)..

NLP 오픈톡방에서 어떤 분이 공유해주시면서 이런 행사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연사분들 중 평소에 유튜브 토스채널에서 뵀던 Toss ML팀에서 근무하시는 대단하신 분, 공모전에서도 우리팀이 활용했던 모델을 직접 만들어주신 대단하신 분, 등 여러 대단하신 분들이 계신걸 확인했다. 바로 결제 후 지난 2월 18일 세미나를 들으러 갔다! 이 강연들 중 인상깊었던 부분들과 (bias와 noise가 많을)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Open-domain QA, Dialouge State Tracking, Chatbot 에 관심이 많으신 Jongwon님을 시작으로 강연이 시작되었다. 1) Jongwon 님 "ChatGPT" 주어진 computing 자원 안에서 최적의 성능을 내기위해선, 당연하게도 더 많은 ..
남들이 쫓는걸 따라 쫓다보면 공허해지는 것, 내가 정한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충만감을 느끼면서 살아갈 때, 실력과 재미 둘 다 얻을 수 있다는 점 한번 사는 인생, Not Normal, Be Myself 가 인생 철학인 점, 다크호스라는 책을 지하철 탈 때 마다 짬짬히 읽고있는데, 내 가치관이 강화되는 느낌이든다. (독서가 권장되는 이유같다.) 내일, 3/1에 3/2 첫 출근부터 무조건 지킬 그 루틴 생각해서 첫 출근부터 가져가봐야겠다. 일찍 출근하여 책 읽든지, 추가 공부 한다든지 등등 말이다. 이번 KIST인턴을 나에게 제일 유리한 6개월로 만들어 갈 것 이다. 한번에 무언가 새로운 루틴을 적용하는것의 단점을 느꼈다. micro 하게 지킬 수 있는 높이만큼씩 변화하고 올라가면 된다 ! 인턴을 마치고...